우리음식의 양념과 고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7 08:09
본문
Download : 우리음식의 양념과 고명.hwp
매일의 식단 속에 포함된 염분은 0.8%이다. 물기가 적어야 맛있게 되는 요리는 재료에 소금을 뿌려 두었다가 만들면 된다된다. 배추나 오이에 소금을 뿌리면 물기가 빠져 나와 숨이 죽는다. 간이 “맞다” “짜다” “싱겁다”고 하는 것은 소금을 적절히 넣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1) 소 금 : 양념 중에서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 것이 소금이다.
우리음식의 양념과 고명에 대한 자료입니다. 또 소금은 맛을 낼뿐만 아니라, 재료의 물기를 없애 주고 단백질을 부드럽게 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소금이 음식을 맛있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된다.
✷ 소금은 재료의 수분을 제거해 준다.
양념과고명에관한리포트
순서
Download : 우리음식의 양념과 고명.hwp( 16 )
설명
레포트/생활전문






우리음식의 양념과 고명
1. 양 념 ⋅⋅⋅⋅⋅⋅⋅⋅⋅⋅⋅⋅⋅⋅⋅⋅⋅⋅ 3
(1) 소금
(2) 간장
(3) 된장
(4) 설탕
(5) 생강
(6) 겨자
(7) 식초
(8) 참기름
(9) 후추
(10) 마늘
(11) 파
(12) 고추
(13) 술
2. 고 명 ⋅⋅⋅⋅⋅⋅⋅⋅⋅⋅⋅⋅⋅⋅⋅⋅⋅⋅ 6
(1) 알고명(달걀지단)
(2) 알쌈
(3) 초대
(4) 소고기 완자
(5) 잣
(6) 버섯 고명
(7) 호두
(8) 은행
(9) 실고추⋅붉은 고추
(10) 대추⋅밤
(11) 통깨
한국 음식에서는 조미료와 향신료를 구별하지 않고 맛을 내는 데 쓰는 것을 일반적으로 통틀어 양념이라 한다.
xxx2; 짠맛을 내는 것 - 소금, 간장, 된장
xxx3; 신맛을 내는 것 - 양조초, 과일초
xxx4; 매운 맛을 내는 것 - 고춧가루, 고추장, 겨자, 후춧가루
xxx5; 단맛을 내는 것 - 꿀, 조청, 설탕
xxx6; 그 밖의 맛을 내는 것 - 생강, 파, 마늘, 참기름, 깨소금
이와 같은 양념은 음식에 따라 적절히 조절해서 넣어야 제맛을 낼 수 있따 우리나라 지방에 따라 맛을 내는 경향을 보면, 기온 낮은 북쪽 지방은 음식 맛이 담백하고 싱거우며, 기온이 높은 남쪽 지방은 고춧가루 등 양념을 강하게 해서 맵고 짠 편이다. 소금의 하루 필요량은 15g 정도, 한 사람이 1년간 섭취하는 양은 약5~7kg이 된다된다. 소금은 단백질을 굳히는 작용을 하여 생선찌개를 끓일 때 생선에 소금을 뿌려…(省略)
우리음식의 양념과 고명에 대한 資料입니다. 이러한 양념을 그 기능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생선에 소금을 뿌리면 물기가 빠지면서 살이 단단해진다. 비린내가 나는 부위에 소금을 뿌리면 물에 녹아 나와 비린내가 가신다. 삼투압 작용을 하기 때문인데, 재료의 표면에 물기가 있어야 원활해진다. 양념과고명에관한레포트 , 우리음식의 양념과 고명생활전문레포트 ,
,생활전문,레포트
다. 체내 염분이 0.8%인 것과 맞아 떨어지는 수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