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행위의 목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9 16:33본문
Download : 법률행위의 목적.hwp
목적의 확정은 요식행위라면 성립당시 확정되어야 하고, 불요식행위라면 그 내용을 실현할 당시(이행기)까지 확정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실현가능성 여부는 사회통념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물리적으로 가능하더라도 사회통념상 불가능이라고 볼 수 있는것도 불능이다.법률행위의목적 , 법률행위의 목적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순서
법률행위의목적
다. 이를 법률행위의 해석이라 한다.
Ⅲ. 목적의 기능
1. 의의
법률행위의 내용은 실현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법률행위의 내용은 원칙적으로 당사자의 의사표시에 의하여 확정된다 당사자의 의사가 불명확할 경우에는 그것을 확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내용의 실현이 법률행위 성립당시 불가능한 경우에는 그 법률행위는 무효이다. 따라서 법률행위의 목적은 당사자의 의사표시(효과(效果)의사)에 따라 정해진다. 목적의 확정은 강제집행 할 수 있을 정도로 확정되어야 한다. 법률행위의 목적은 사적 자치의 원리에 따라 당사자가 자유로이 정할 수 있음이 원칙이다. .
2. 불능의 분류
(1) 원시적 불능 ・ 후발적 불능
법률행위의 성립당시에 불능인 것이 원시적 불능이고, 법률행위 성립 후 그 이행 전에 불능으로 된 것이 후발적 불능이다.
법률행위의 목적에 대한 내용 입니다. 이러한 요건을 결여한 법률행위는 절대적 무효사유가 된다
Ⅱ. 목적의 확정
법률행위의 목적은 반드시 성립당시 확정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장차 확정지을 수 있으면 된다 목적이 불확정한 법률행위는 무효이다. 법률행위의 목적이 존재하여야만 법률행위가 성립하고 일단 성립된 법률행위라도 그 목적이 실현 가능하고, 적법하고, 사회적 타당성이 있고, 확정지을 수 있어야 그 효력을 발생한다. 불능은 확정적이어야 하며, 일시적 불능은 법률상 불능이 아닐것이다. 예컨대 건물에 대해 매매계약을 체결 …(skip)
Download : 법률행위의 목적.hwp( 38 )
법률행위의 목적에 대한 내용 입니다.
설명






,기타,레포트
법률행위의 목적
Ⅰ. 의의
Ⅱ. 목적의 확정
Ⅲ. 목적의 기능
1. 의의
2. 불능의 분류
Ⅳ. 목적의 적법
1. 의의
2. 민법상의 강행규정
3. 효력규정과 단속규정
4. 탈법행위
Ⅴ. 목적의 사회적 타당성
1. 의의
2. 사회질서 위반행위의 유형
3. 사회질서 위반의 효과(效果)
4. 불공정한 법률행위
5. 법률행위의 해석
법률행위의 목적
Ⅰ. 의의
법률행위의 목적이란 행위자가 그 법률행위에 의하여 발생시키려고 하는 법률효과(效果)를 말한다. 예컨대 기계수리가 물리적으로 가능하더라도 신제품을 구입하는 것보다 수리비 지출이 많다면 사회관념으로 보아 불능으로서 무효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