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 고체역학 실험 - MTS 인장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3 02:24
본문
Download : [공학] 고체역학 실험 - MTS 인장실험.hwp
- experiment(실험) 시간장소
'14. 05. 02 (금) 제 3Engineering관 C427호
2. experiment(실험) 관련 theory
외력(外力)이 재료에 작용할 때 그 내부에 생기는 저항력. 변형력이라고도 하고 내력(內力)이라고도 한다.
순서
[공학] 고체역학 실험 - MTS 인장실험
공학,고체역학,실험,MTS,인장실험,기타,실험과제
![[공학]%20고체역학%20실험%20-%20MTS%20인장실험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A%B3%A0%EC%B2%B4%EC%97%AD%ED%95%99%20%EC%8B%A4%ED%97%98%20-%20MTS%20%EC%9D%B8%EC%9E%A5%EC%8B%A4%ED%97%98_hwp_01.gif)
![[공학]%20고체역학%20실험%20-%20MTS%20인장실험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A%B3%A0%EC%B2%B4%EC%97%AD%ED%95%99%20%EC%8B%A4%ED%97%98%20-%20MTS%20%EC%9D%B8%EC%9E%A5%EC%8B%A4%ED%97%98_hwp_02.gif)
![[공학]%20고체역학%20실험%20-%20MTS%20인장실험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A%B3%A0%EC%B2%B4%EC%97%AD%ED%95%99%20%EC%8B%A4%ED%97%98%20-%20MTS%20%EC%9D%B8%EC%9E%A5%EC%8B%A4%ED%97%98_hwp_03.gif)
![[공학]%20고체역학%20실험%20-%20MTS%20인장실험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A%B3%A0%EC%B2%B4%EC%97%AD%ED%95%99%20%EC%8B%A4%ED%97%98%20-%20MTS%20%EC%9D%B8%EC%9E%A5%EC%8B%A4%ED%97%98_hwp_04.gif)
![[공학]%20고체역학%20실험%20-%20MTS%20인장실험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A%B3%A0%EC%B2%B4%EC%97%AD%ED%95%99%20%EC%8B%A4%ED%97%98%20-%20MTS%20%EC%9D%B8%EC%9E%A5%EC%8B%A4%ED%97%98_hwp_05.gif)
![[공학]%20고체역학%20실험%20-%20MTS%20인장실험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A%B3%A0%EC%B2%B4%EC%97%AD%ED%95%99%20%EC%8B%A4%ED%97%98%20-%20MTS%20%EC%9D%B8%EC%9E%A5%EC%8B%A4%ED%97%98_hwp_06.gif)
[공학] 고체역학 실험 - MTS 인장실험
고체역학 experiment(실험) - MTS 인장experiment(실험)
1. experiment(실험) 개요
- experiment(실험) 목적
MTS와 Extensometer, Control PC의 장비들을 이용해 시편1과 시편 2에 인장하중을 서서히 가해주는 이번 experiment(실험)을 통해 재료의 여러 가지 중요한 기계적 성질을 결정할 수 있다아 또한 이번 experiment(실험)에서 구하고자 하는 Young`s Modulus, Yield Stress, Proportional Limit 의 물성치와 Force/Strain 등의 Data 값들을 分析(분석)하여 시편 1과 시편 2의 재료를 추정한다.
응력은 외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지만 이에는 한도가 있어서 응력이 그 재료 고유의 한도에 도달하면 외력에 저항할 수 없게 되어 그 재료는 마침내 파괴된다
응력의 한도가 큰 재료일수록 강한 재료라고 할 수 있으며, 또 외력에 의해 생기는 응력이 그 재료의 한도 응력보다 작을수록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아
그러나 응력의 크기로 재료의 강한 정도를 나타내면 같은 재료라도 단면적이 큰 것일수록 응력의 한도가 커지므로 강한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또 다른 재료와의 세기를 비교하는 데도 불합리해진다.
일반적으로 응력이라고 하면 단위응력을 말한다.
응력 =외력/단면적 응력의 단위는 힘 및 넓이의 단위에 따라 kgf/Cm2, kgf/mm2 등이 사용…(투비컨티뉴드 )
[공학] 고체역학 실험 - MTS 인장실험 , [공학] 고체역학 실험 - MTS 인장실험기타실험과제 , 공학 고체역학 실험 MTS 인장실험
설명
실험과제/기타
Download : [공학] 고체역학 실험 - MTS 인장실험.hwp( 60 )
다.
이에 대해 단면 전체에 생기는 응력의 합을 전응력(全應力)이라고 하며 단면 전체에 작용하는 전응력은 외력과 같으므로 단위면적에 대한 응력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응력을 단위면적에 대한 크기로 나타낼 때 이것을 단위응력 또는 응력도(應力度)라고 한다.
따라서 단위면적에 생기는 응력의 크기를 구하면 재료의 단면적이 달라도 일정한 값이 되어 재료의 강도를 알아보는 데 편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