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 이주 한민족의 정체성 유지와 토착文化(culture) 의 융합문제에 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1 10:10
본문
Download : 중앙아시아 이주 한민족의 정체성 유지와 토착문화의 융합문제에 관한 고찰.hwp
러시아 정교에 개종하려면 교리문답을 배워야 하고, 교리를 배우려면 러시아어를 알아야 한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고하고 시간이 경과할 수록 귀화하는 한인의 수가 증가하였다.
연해주에 거주하는 한인들에게 어려운 문제는 러시아의 귀화뿐이 아니라 연해주를 포함한 원동지구 총독으로 부임하는 총독의 의사에 …(To be continued )
Download : 중앙아시아 이주 한민족의 정체성 유지와 토착문화의 융합문제에 관한 고찰.hwp( 17 )
순서
설명
중앙아시아 이주 한민족의 정체성 유지와 토착文化(culture) 의 융합문제에 관한 고찰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중앙아시아 이주 한민족의 정체성 유지와 토착文化(culture) 의 융합문제에 관한 고찰
중앙아시아 이주 한민족의 정체성 유지와 토착문화의 융합문제에 관한 고찰중앙아시아이주한민족의정체성유지와토착문화의융합문제에관한고찰 , 중앙아시아 이주 한민족의 정체성 유지와 토착문화의 융합문제에 관한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중앙아시아이주한민족의정체성유지와토착文化(culture) 의융합문제에관한고찰
다. 한인이 농토를 이룩하면 러시아인들이 와서 연해주는 러시아 땅이라 하여 한인의 농토를 빼앗는 것이었다. 러시아에 귀화하려면 그에 앞서 러시아 정교(正敎)에 개종하여야 한다. 소작인이 되어도 토지 세는 물론 각종 세금을 내어야 그나마 소작권을 유지할 수 있었다. 토지를 빼앗긴 한인들은 그 농토를 지키려면 러시아인의 소작인이 되는 것이고 이것이 싫으면 다른 곳에 가서 새 농지를 개간하여야 하는 것이었다.
농토를 빼앗기지 않으려면 러시아에 귀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한국에서 가난한 농민이 한글도 모르는 판에 러시아어를 배워 교리문답을 배우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러시아의 연해주로 이주한 한인들은 황무지를 개척하고 농토를 이룩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었으나 이것보다 러시아인에게서 받는 시련이 더 고통스러운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