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존재인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18:17
본문
Download : 자신의 존재인식.hwp
자신의 존재인식
1) 호칭으로서의 나
우선은 youth 시절에 가장 먼저 던지게 될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은 바로 나의 이름 즉 김대욱 이라는 대답을 했었다.자신의존재인식 , 자신의 존재인식자연과학레포트 ,
설명
자신의존재인식
레포트/자연과학
자아에 대한 존재인식에 대하여 철학적으로 쓴 글입니다. 우선 나는 머리, 몸통, 그리고 사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성체(構成體)로서 뼈와 살, 피 그리고 그 외의 여러 효소로 이루어져 있다아 다시 세분화하여 기관 - 조직체 - 조직 - 세포 이러한 분류는 나의 몸이 단순한 무수히 많은 세포들의 단순한 결합이며 다시금 이러한 세포는 원형지질과…(省略)
다. 물론 처음에야 농담반 진담반이 섞인 대답이었지만 가장 간단하게 나를 표현할 수 있는 대답이었으며 일반적인 대화가 오고가는 일상에서 지금도 누군가가 나에게 ‘당신은 누구입니까?(Who are you?)’라는 질문을 던진다면 “저는 김대욱 입니다”라는 나의 성명을 댈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이러한 칭호는 절대적으로 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쉽게 깨달을 수 있었다. 그리고 나를 칭하는 다른 용어는 얼마든지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자연과학,레포트
순서
Download : 자신의 존재인식.hwp( 21 )
자아에 대한 존재인식에 대해서 철학적으로 쓴 글입니다.
2) 단순한 결합체(結合體)로서의 나
학창시절 배우는 생물학은 자신을 쪼개고 세분화시키며 미세(微細)의 세계로 들어가서 나 자신을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하였다. 이는 나를 상대방에게 가장 알리기 간단한 방법이며, 상대방 역시 이름이나 그에 준 하는 대답을 요구하는 것 일 것이다. 그러나 이름으로서 표현되는 나는 나를 나타내기에는 무엇인가 부족하였고 이름을 바꾼다고 해서 그 사람이 달라지는 것이 아니듯 이름(또는 호칭)이 그 사람을 아니 나 자신을 나타낼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중부대학교 광고홍보학과 학번 96159006인 학생’ 또한 나를 나타내는 표현이며 이 역시 고유대명사의 역할을 충분히 해 낸다는 사실을 인지 할 수 있었다. 물론 이것이 고유대명사이며 나말고 나와 같은 ‘김대욱’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 있더라도 나를 나타내는 단어는 김대욱이며 이 세상에 유일무이 한 단어라는 것이 한때나마 나를 만족시켰다.